어찌할 도리가 없다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어찌할 도리가 없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과부적중(寡不敵衆)적은 수효로는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② 계무소출(計無所出)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한다는 뜻. ③ 백계무책(百計無策)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한다는 뜻.④ 사면초가(四面楚歌)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져 어찌할 도리가 없는 상태라는 뜻. ⑤ 속수무책(束手無策)어찌할 도리나 방책이 없어 꼼짝 못하는 상태라는 뜻. ⑥ 일주막전(一筹莫展)써볼만한 계책이 하나도 없어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뜻.⑦ 진퇴양난(進退兩難)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매우 .. 성어속담 2025. 4. 1. 싼게 비지떡 뜻 싼게 비지떡 유래 및 예문 참고하세요 우리 속담에 "싼게 비지떡"이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싼게 비지떡"이라는 속담은 무슨 의미일까요? "싼게 비지떡 뜻", "싼게 비지떡 유래", "싼게 비지떡 예문"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가격이 저렴한 상품은 대체로 품질이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즉, 값이 싼 상품이나 물건은 일반적으로 품질이 나쁘다는 뜻입니다. 에를 들어 메이커(make)가 있는 상품은 가격이 비싸도 대부분 품질이 우수하지만, 메이커가 없는 상품은 비록 가격은 싸지만 품질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과거에는 지방 출신의 선비들이 과거 시험을 치르기 위해 한양으로 향하던 중, 박달재 인근에 위치한 주막에서 하루를 보내곤 했습니다. 또한 주막의 주모는 길을 나서는 선비들에게 보자기에 싼 물건들을 나눠주곤.. 성어속담 2025. 2. 27. 충직한말은귀에거슬린다는사자성어 충언역이 이어행 양약고구 이어병 참고하세요 '충직한말은 귀에거슬린다는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충직한말은귀에거슬린다는사자성어는 바로 '충언역이'입니다. 이에 '충언역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바로 충언역이(忠言逆耳)입니다. '충언역이'는 '충직한 말이나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린다'는 뜻입니다. '충언역이'는 주로 '충언역이(忠言逆耳) 이어행(利於行)'과 같이 쓰입니다. 충언역이 이어행(忠言逆耳 利於行)은 '충직한 말이나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바른 행동을 하는데 이롭게 작용한다'는 뜻입니다. 충언역이와 함께 주로 사용되는 사자성어가 바로 '양약고구(良藥苦口)'인데요,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의미입니다. 양약고구(良藥苦口)는 주로 양약고구(良藥苦口) 이어병(利於病)과 같이 쓰입니다.양약고구 이어병(良藥苦口 利於病)은 '좋은 .. 성어속담 2024. 12. 13.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고사성어 참고하세요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라는 말은 너무 고맙거나, 너무 어려운 자리이거나, 너무 두려운 상황이라서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뜻인데요,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라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감사만만(感謝萬萬)고마운 일을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는 뜻. 2. 감사천만(感謝千萬)고마운 일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는 뜻. 3. 감사무지(感謝無地)고마운 마음을 이루 다 나타낼 길이 없다는 뜻.4. 감지덕지(感之德之)과분한 듯하여 너무나 고맙게 여긴다는 뜻. 5. 난망지은(難忘之恩)절대로 잊을 수 없는 은혜라는 뜻. 6. 난망지택(難忘之澤)절대로 잊을 수 없는 은혜라는 뜻. 7. 망극지은(罔極之恩)끝없이 베풀어 주는 혜택.. 성어속담 2024. 11. 18. 고사성어 부중지어 釜中之魚 뜻 부중지어 유래 고사성어 부중지어(釜中之魚)는 '솥 안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라는 말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급한 상황'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럼 고사성어 부중지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솥 안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라는 말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급한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즉, 물고기가 솥안에 들어있으므로 언제 삶겨 죽을지 모르는 위태로운 상황이라는 말로, 매우 위급한 상황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출전은 '자치통감의 한기'입니다.한자는 釜中之魚(부중지어)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釜 : 가마솥 부) (中 : 가운데 중) (之 : 갈 지) (魚 : 물고기 어)입니다.후한 순제 때 장강은 황후의 오빠인 양기의 미움을 받아 광릉군의 태수로 가게 되었다. 그런데 광릉군에는 난폭하기로 유명한 .. 성어속담 2024. 10. 31. 술관련 사자성어 술에 관한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술에 관한 사자성어 (술관련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술에 관한 사자성어 (술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계주생면(契酒生面)계모임에서 마시는 술을 가지고 생색을 낸다는 말로, 남의 것을 마치 자기 것처럼 생색낸다는 뜻. 2. 고양주도(高陽酒徒)술을 좋아하여 제멋대로 행동하는 사람을 뜻함. 3. 고주일배(苦酒一杯)쓴 술 한 잔이라는 말로, 자기가 남에게 대접하는 한 잔의 술을 낮추어 이르는 말. 4. 두주불사(斗酒不辭)말술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말로, 술을 매우 잘 마신다는 뜻. 5. 목로주점(木壚酒店)널빤지로 좁고 길게 만든 상을 차려놓고 술을 파는 집을 뜻함. 6. 미주가과(美酒佳果)좋은 술과 좋은 과일이라는 뜻. 7. 반취반성(半醉半醒)술이 반은 취하고 반은 깨어 .. 성어속담 2024. 9. 11.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뜻 빈수레가 요란하다 사자성어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는 속담이 있는데요,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는 어떤 뜻일까요?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뜻, 빈수레가 요란하다 사자성어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 수레가 물건을 실은 수레보다도 더 요란한 소리를 내듯이 실력이나 능력, 실속 등이 없어 속은 텅빈 사람이 겉으로는 더 떠들어대며 허세를 부린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빈수레 뿐만 아니라, 트럭의 경우도 물건을 적재했을 때보다 적재함이 비었을 때 더 덜컹거리는 소리를 내며, 빈 깡통도 발로 차면 속이 꽉 찬 깡통보다 더 요란한 소리를 냅니다. 사람의 경우도 실속, 실력, 능력 등이 부족하면 자신의 약점이나 결점 등을 감추려고 남들 앞에서 더 허세를 부리는데요, 이런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내허외식(內虛外飾)속은 텅 비었.. 성어속담 2024. 6. 28. 이전 1 2 3 4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