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주다 사자성어 '도와주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와주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강개해낭(慷慨解囊) 아낌없이 돈주머니를 푼다는 말로, 타인의 어려움을 기꺼이 돕는다는 뜻. 2. 동심협력(同心協力)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돕는다는 뜻. 3. 발도상조(拔刀相助) 팔을 걷어붙이고 도와준다는 뜻. 4. 상애상조(相愛相助) 서로서로 도움을 뜻함. 5.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서로 도움을 뜻함. 6. 상호부조(相互扶助) 서로 돕는 일을 뜻함. 7. 상유이말(相濡以沫) 어려울 때 서로 도움을 뜻함. 8. 서강부약(锄强扶弱) 횡포한 자를 무찌르고 약한 자를 돕는다는 뜻. 9. 십시일반(十匙一飯) 여럿이 힘을 합하면 한 사람쯤은 도와주기 쉽다는 뜻. 10. 환난상휼(患難相恤) 향.. 성어속담 2023. 7. 16. 하지하책의 뜻 '하지하책'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하지하책은 어떤 뜻일까요? 하지하책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하지하책(下之下策)이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 중에 가장 나쁜 계책이라는 뜻입니다. ※ 하지하책(下之下策)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 중에 가장 나쁜 계책.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에는 그 효율성에 따라 상, 중, 하 셋으로 나눕니다. 즉 상책, 중책, 하책으로 나누는 것이지요. ※ 그런데 이것을 다시 각각 셋으로 나눠 아래와 같이 아홉가지로 구분합니다. ① 상책(上策) 제일 좋은 대책이나 방책으로, 상책의 상, 상책의 중, 상책의 하로 구분합니다. (예) 이런 경우는 무책이 상책이다. (예) 힘들 때는 한푼이라도 아끼는 것이 상책이다. ② 중책(中策)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중간 정.. 성어속담 2023. 7. 8. 평정심 뜻 평정심 사자성어 평정심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평정심은 어떤 뜻일까요? 평정심 뜻, 평정심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감정의 기복이 없이 평안하고 고요한 마음을 뜻합니다. 즉, 감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마음이 편안함을 뜻합니다. ※ 평정심(平靜心) 외부의 어떠한 자극에도 감정의 기복없이 평안하고 고요한 마음이라는 뜻. (예) 선수들은 평정심을 유지해야 한다.(예) 그는 어려움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했다. (예) 그는 평정심을 잃고 크게 흥분했다. ① 비석지심(匪石之心) 돌처럼 단단하여 어떤 일에도 쉽게 동요하지 않는 마음. ② 목인석심(木人石心)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 ③ 상지평심(常持平心) 항상 평정심을 지님. ④ 심여수담(心如水淡) 마음을 물 같이 맑고 단백하게 만듬. ⑤.. 성어속담 2023. 7. 1. 우열을 가리기 힘든 사자성어 우열을 가리기 힘든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열을 가리기 힘든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난형난제(難兄難弟) 누구를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는 말로, 서로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 2. 난백난중(難伯難仲)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말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 3. 대동소이(大同小異) 대개는 같거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4. 막상막하(莫上莫下)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5. 백중지세(伯仲之勢) 힘이나 능력 등이 서로 엇비슷하여 누가 더 낫고 못함을 가리기 힘든 형세라는 뜻. 6. 백중지간(伯仲之間) 힘이나 능력 등이 서로 엇비슷해 누가 .. 성어속담 2023. 6. 21. 화룡정점 뜻 '화룡정점'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화룡정점은 어떤 뜻일까요? 화룡정점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무슨 일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키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러나 '화룡정점'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화룡정점'이 아니고 '화룡점정'이 바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 화룡정점 (X)- 화룡점정 (O) ※ 화룡점정(畵龍點睛) 무슨 일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킨다는 뜻. '화룡점정'과 뜻이 비슷한 말로는 '대불개안'이 있습니다. ※ 대불개안(大佛開眼) 부처의 눈을 뜨게 한다는 말로, 만들고 있는 불상이 거의 다 완성되어 갈 때 불상에 눈동자를 찍은 것을 뜻함. (흔히 최후의 완성을 뜻하는 말임) 양나라에 장승요라는 화가가 있었는데, 그는 실물보다 훨씬 사실적으로 그림을.. 성어속담 2023. 6. 11. 경청 사자성어 경청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경청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경외지심(敬畏之心)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라는 뜻. 2. 세이공청(洗耳恭聽) 귀를 씻고 남의 말을 경청한다는 말로, 상대방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다는 뜻. 3. 세이경청(洗耳敬聽) 귀를 씻고 남의 말을 경청한다는 말로, 상대방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다는 뜻. 4. 영천세이(潁川洗耳) 매우 공손하게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한다는 뜻. 5. 이청득심(以聽得心) 상대방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다는 뜻. 6. 중구삭금(衆口鑠金) 뭇사람의 말은 쇠도 녹인다는 말로, 여론의 힘이 매우 크다는 뜻. 7. 해아지언 의납이문(孩兒之言 宜納耳門) 어린아이의 말도 받아들일 것이 있으.. 성어속담 2023. 5. 22. 꿩먹고 알먹고 뜻 '꿩먹고 알먹고'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꿩먹고 알먹고는 어떤 의미일까요? 꿩먹고 알먹고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꿩먹고 알먹고'는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꿩먹고 알먹고와 의미가 같은 속담으로는 '도랑치고 가재잡고' '알로 먹고 꿩으로 먹는다' 등이 있습니다. ① 도랑치고 가재잡고. 지저분한 도랑을 깨끗이 치우던 중 뜻하지 않게 가재도 잡게 되었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보는 경우를 뜻함. ② 알로 먹고 꿩으로 먹는다. 한꺼번에 두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 ③ 임도 보고 뽕도 딴다. 좋은 일을 한꺼번에 겸하여 얻게 됨을 뜻함. ④ 뽕도 따고 임도 보고.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이룸을 뜻함. 1. 일거양득 한가지 일로 두가지 이득을 한꺼번에 얻는다는.. 성어속담 2023. 5. 18.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