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모 단기지교 뜻 및 유래 '맹모 단기지교'라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맹모 단기지교는 어떤 뜻일까요? 맹모 단기지교 뜻, 맹모 단기지교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맹자의 어머니가 공부하던 도중에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기 위해 베틀에 걸린 날실을 끊었다는 말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짜던 베의 날실을 끊는 것과 같이 아무 쓸모가 없다는 뜻입니다. ※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학문을 하다가 중도에서 그만두면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뜻.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의 개별 한자의 뜻은 (孟 : 맏 맹) (母 : 어미 모) (斷 : 끊을 단) (機 : 베틀 기) (之 : 갈 지) (敎 : 가르칠 교)입니다.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는 줄여서 맹모단기(孟母斷機)로 주로 쓰입니다. 출전은 중국 '열녀전'입니다. 맹자의 어.. 성어속담 2023. 8. 21. 공사가 다망하다 공사다망 뜻 공사가 다망하다는 말이 있는데요, 공사다망은 어떤 뜻일까요? 공사가 다망하다, 공사다망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사가 다망하다'는 '공적·사적인 일로 매우 바쁘다는 뜻이고, '공사다망'은 '공적·사적인 일로 매우 바쁨'을 뜻합니다. ① 공사다망(公私多忙) 공적·사적인 일 따위로 매우 바쁨. (예) 공사다망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예) 공사다망 중에도 이렇게 틈을 내어 찾아와 주시니 감사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② 공사(公私)가 다망(多忙)하다 공적·사적인 일 따위로 매우 바쁘다. (예) 공사가 다망하심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왕림하여 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예) 모든 분들이 공사가 다망하심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찾아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① 다사다망( .. 성어속담 2023. 8. 15. 자업자득 인과응보 뜻 '자업자득'과 '인과응보'라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자업자득 인과응보는 어떤 뜻일까요? 자업자득 인과응보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업자득(自業自得) 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는다는 뜻. (예) 과욕으로 실패한 것은 자업자득이다. (예) 가난하게 사는 것도 자업자득이다. (예) 과음으로 병이 난 것은 자업자득이다.(예) 게을러서 가난한 것은 자업자득이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의 개별 한자의 뜻은 (自 : 스스로 자) (業 : 업 업) (自 : 스스로 자) (得 : 얻을 득)입니다. 2. 인과응보(因果應報) 착한 일을 하면 착한 일의 결과가, 나쁜 짓을 저지르면 나쁜 짓에 대한 결과가 받드시 따른다는 뜻. (예) 깡패가 벌을 받은 것은 인과응보다. (예) 도둑이 수감된 것.. 성어속담 2023. 8. 5. 개과천선 비슷한 말 '개과천선'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개과천선과 비슷한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개과천선 비슷한 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됨. 1. 개과자신(改過自新)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됨. 2. 회과천선(悔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됨. 3. 배암투명(背暗投明) 어두운 것을 등지고 밝은 것에 들어선다는 말로, 그른 길을 버리고 바른길로 돌아감을 뜻함. 4. 개과(改過) 잘못을 뉘우치고 고침. 5. 개심(改心) 잘못된 마음을 고침. 6. 개전(改悛) 잘못을 뉘우치고 마음을 바르게 고쳐 먹음. 7. 개오(改悟) 잘못을 깨닫고 뉘우침. 8. 전개(悛改) 잘못을 뉘우치고 마음을 바르게 고쳐 먹음. 9. 전.. 성어속담 2023. 8. 1. 사자성어 양상군자 뜻 및 유래 '양상군자'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사자성어 양상군자는 어떤 뜻일까요? 사자성어 양상군자의 뜻과 양상군자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말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을 뜻하는 말입니다. 즉, 도둑을 좋게 표현한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양상군자(梁上君子) 대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말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을 뜻함. 즉, 도둑을 좋게 표현한 말임. (예) 도독을 높여 양상군자라고 부른다.(예) 양상군자가 다녀가 금팔지가 없어졌다. 한문으로는 梁上君子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梁 : 대들보 양) (上 : 위 상) (君 : 임금 군) (子 : 아들 자)입니다. 중국 후한 말, 진식이란 사람은 태구현 현령이었는데, 그는 항상 겸손하고 모든 일을 공정하게 처리해 칭.. 성어속담 2023. 7. 30. 도와주다 사자성어 '도와주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와주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강개해낭(慷慨解囊) 아낌없이 돈주머니를 푼다는 말로, 타인의 어려움을 기꺼이 돕는다는 뜻. 2. 동심협력(同心協力)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돕는다는 뜻. 3. 발도상조(拔刀相助) 팔을 걷어붙이고 도와준다는 뜻. 4. 상애상조(相愛相助) 서로서로 도움을 뜻함. 5.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서로 도움을 뜻함. 6. 상호부조(相互扶助) 서로 돕는 일을 뜻함. 7. 상유이말(相濡以沫) 어려울 때 서로 도움을 뜻함. 8. 서강부약(锄强扶弱) 횡포한 자를 무찌르고 약한 자를 돕는다는 뜻. 9. 십시일반(十匙一飯) 여럿이 힘을 합하면 한 사람쯤은 도와주기 쉽다는 뜻. 10. 환난상휼(患難相恤) 향.. 성어속담 2023. 7. 16. 하지하책의 뜻 '하지하책'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하지하책은 어떤 뜻일까요? 하지하책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하지하책(下之下策)이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 중에 가장 나쁜 계책이라는 뜻입니다. ※ 하지하책(下之下策)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 중에 가장 나쁜 계책.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도에는 그 효율성에 따라 상, 중, 하 셋으로 나눕니다. 즉 상책, 중책, 하책으로 나누는 것이지요. ※ 그런데 이것을 다시 각각 셋으로 나눠 아래와 같이 아홉가지로 구분합니다. ① 상책(上策) 제일 좋은 대책이나 방책으로, 상책의 상, 상책의 중, 상책의 하로 구분합니다. (예) 이런 경우는 무책이 상책이다. (예) 힘들 때는 한푼이라도 아끼는 것이 상책이다. ② 중책(中策)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중간 정.. 성어속담 2023. 7. 8.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