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

님 띄어쓰기 설명

청령포인 2020. 9. 15.

'님'은 이름 뒤에 붙여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로서 ‘씨’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데,

이름 뒤에 '님'을 붙여 써야 할까? 띄어 써야 할까? 님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님 띄어쓰기>

'님'을 이름 뒤에 사용할 때는 호칭이므로 띄어 써야 한다. 한글맞춤법 제5장 제4절

제48항에서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나 관직명은

띄어 쓰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수철 님, 김순남 님, 김소라 님, 김수호 님 등과 같이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님'은 이름 뒤에 띄어 써야 한다. (김수철님 X) (김수철 님 O)

 

마찬가지로 '씨' '양' '군' '여사' 등의 호칭과 '선생' '박사' '교수' 과장' '부장' 사장'

등의 관직명도 아래와 같이 성과 이름 뒤에 띄어 써야 한다.

 

- 김수철 씨, 김소라 양, 김수호 군, 이금자 여사

- 김철수 선생, 윤수홍 박사, 이기풍 교수

- 전기철 과장, 이분자 부장, 최대식 사장

 

 

그러나 이름이 아닌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는 '님'은 접미사이므로

아래와 같이 붙여 써야 한다.

 

- 사장님, 실장님, 부장님, 과장님, 계장님, 대리님 등과 같이 붙여 씀

 

- 교수님, 선생님, 박사님 등과 같이 붙여 씀

 

또한 달님, 해님, 별님 등과 같이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여 부르는 경우도 접미사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참고사항>

성(姓) 뒤에 바로 호칭어나 관직명을 쓰는 경우 아래와 같이 성(姓) 뒤에 호칭어나

관직명을 띄어 써야 한다.

 

- 최 씨, 김 군, 홍 양, 이 여사

- 이 박사, 최 교수, 홍 선생

- 김 사장, 윤 실장, 최 부장, 신 과장, 이 대리

 

이해가 되셨습니까? 감사합니다. 끝.

'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띄어쓰기  (0) 2020.12.31
진행중 띄어쓰기  (0) 2020.10.19
여러번 띄어쓰기  (0) 2020.10.11
몇년전 띄어쓰기  (0) 2020.09.24
처럼 띄어쓰기  (0) 2020.08.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