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한자성어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는 무엇일까?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마이동풍'이다. 마이동풍(馬耳東風)은 '봄바람이 말(馬)의 귀를 지나간다는 말로,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는 의미다. 즉,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무관심하거나 무시하며 대수롭게 생각하고 그냥 흘려 보낸다는 의미다. - 마이동풍((馬耳東風) 봄바람이 말(馬)의 귀를 스치고 지나간다는 말로,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는 뜻. - 그는 아무리 좋은 말을 해주어도 마이동풍으로 일관하면서 딴청을 피웠다. - 그에게 나의 충고는 마이동풍일 뿐이었다. - 학생은 선생님의 말씀을 마이동풍으로 흘려 들었다. - 그녀는 내가 하는 말에 대해 .. 성어속담 2021. 8. 29. 자식 속담 자식과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자식 속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한 어미 자식도 아롱이다롱이. 세상 일은 무엇이나 똑같은 것이 없다는 뜻. 2. 죽은 자식 나이 세기. 이왕 잘못된 일을 자꾸 생각해 보아야 소용없다는 뜻. 3. 제 새끼 밉다는 사람 없다. 자기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누구나 같다는 뜻. 4. 자식 적은 사람은 근심도 적다. 자식이 많을수록 걱정도 많아진다는 뜻. 5. 자식 잘못 기르면 호랑이만 못하다. 자식을 올바르게 기르지 못하면 큰 후환을 입게 된다는 뜻. 6. 효자가 악처만 못하다. 아무리 못된 아내라도 효자보다 낫다는 말로, 남자에게는 자식보다 아내가 더 중요하다는 뜻. 7. 얼러 키운 후레자식. 버릇없이 제 욕심만 내세우고 아무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뜻함. 8... 성어속담 2021. 8. 25. 가을 관련 사자성어 가을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을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말로, 가을에는 모든 것이 풍성함을 뜻함. 2. 만추가경(晩秋佳景)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 3. 추고마비(秋高馬肥) 가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말로, 가을은 하늘이 맑고 모든 것이 풍성한 계절이라는 뜻. 4. 등화가친(燈火可親)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다는 뜻. 5. 풍상고결(風霜高潔) 바람은 높이 불고 서리는 희고 깨끗한 가을의 경치를 뜻함. 6. 추월춘풍(秋月春風) 가을 달과 봄바람이라는 말로, 흘러가는 세월을 뜻함. 7. 장장추야(長長秋夜) 길고도 긴 가을밤을 뜻함. 8. 월백풍청(月白風淸) 달은 환하게 빛나고 바람은.. 성어속담 2021. 8. 23. 꿩 먹고 알 먹는다 사자성어 '꿩 먹고 알 먹는다'는 말은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보게 됨'을 뜻하는 속담인데, 꿩 먹고 알 먹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꿩 먹고 알 먹는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꿩 먹고 알 먹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금상첨화' '일석이조' '일전쌍조' 등이 있습니다. 1.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말로, 좋은 일 위에 더 좋은 일이 더해짐을 뜻함. 2. 일석이조(一石二鳥) 돌 하나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말로, 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이득을 얻음을 뜻함. 3. 일전쌍조(一箭雙雕) 화살 하나로 수리 두 마리를 떨어뜨린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음을 뜻함. 4.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로 .. 성어속담 2021. 8. 21.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사자성어)로는 '결의형제' '작의형제' '도원결의' '맹형제' 등이 있다. - 결의형제(結義兄弟) 남남끼리 결의하여 형제와 같은 관계를 맺음. - 작의형제(作義兄第) 의리로써 형제 관계를 맺음. - 도원결의(桃園結義) 의형제를 맺음.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말로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은 데에서 유래되었음) - 맹형제(盟兄弟) 형제가 아닌 사람끼리 형제와 같은 관계를 맺음. - 여형약제(如兄若弟) 친하기가 형제와 같음을 뜻함. - 형제지의(兄弟之誼) 형제 사이와 같이 지내는 정다운 우의. - 의형의제(宜兄宜弟) 형제간의 우애가 두터움을 뜻함. - 형우제공(兄友.. 성어속담 2021. 8. 15. 만나면 헤어진다 사자성어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됨을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만나면 반드시 헤어진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만나면 헤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는 '회자정리'를 들 수 있습니다.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됨. '회자정리'와 반대되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는 '거자필반'이 있습니다. 거자필반(去者必返)은 헤어진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돌아오게 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 거자필반(去者必返) 헤어진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돌아오게 됨. - 회자정리(會者定離) 거자필반(去者必返)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되고, 떠난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다시 돌아오게 된.. 성어속담 2021. 8. 13. 사랑 속담 사랑과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랑 속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아내는 남편 사랑을 먹고 산다. 여자는 아무리 고생스럽더라도 남편이 사랑해주면 참고 견뎌낼 수 있음을 뜻함. 2.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일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사랑하기는 어렵다는 뜻. 3. 품마다 사랑이 있다. 새 애인을 만나면 또 다른 사랑이 생긴다는 뜻. 4. 짝사랑에 외기러기. 상대방이 몰라주는 혼자만의 사랑은 아무런 소용이 없음을 뜻함. 5. 젊어서는 사랑으로 살고 늙어서는 정으로 산다. 부부가 젊었을 적에는 불같은 사랑으로 살지만 늙어서는 서로 믿고 아끼는 따뜻한 정으로 살아간다는 뜻. 6. 제 사랑 제가 끼고 있다. 자기 하기에 따라서 사랑을 받을.. 성어속담 2021. 8. 1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