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쉬운 사자성어 모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쉬운 사자성어 모음>
1. 감언이설(甘言利說)
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2. 거거익선((巨巨益善)
크면 클수록 좋음.
3. 근자필성(勤者必成)
부지런한 사람은 반드시 성공함을 의미함.
4.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마음속에 깊이 새겨 잊지 아니함.
5. 감지덕지(感之德之)
과분한 듯하여 아주 고맙게 여김.
6. 결초보은(結草報恩)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7. 구밀복검(口蜜腹劍)
말로는 친한 체하나 속으로는 미워하거나 해칠 생각이 있음.
8. 경전하사(鯨戰蝦死)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
9.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즐거움(낙)이 온다.
10.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말로,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음.
11. 고군분투(孤軍奮鬪)
적은 인원이나 약한 힘으로 남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 힘에 벅찬 일을 잘 해냄.
12. 개과천선(改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 착하게 됨.
13. 공명정대(公明正大)
하는 일이나 행동이 아주 공정하고 떳떳함.
14. 기인지우(杞人之憂)
쓸데없는 걱정이나 지나친 걱정.
15. 고립무원(孤立無援)
고립되어 도움이나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
16.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 사이라는 말로, 사이가 몹시 좋지 않은 관계를 뜻함.
17. 권모술수(權謀術數)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온갖 술책을 뜻함.
18. 결의형제(結義兄弟)
남남끼리 결의하여 형제와 같은 관계를 맺음.
19. 금지옥엽(金枝玉葉)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란 말로 아주 귀한 자손을 뜻함.
20.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말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뜻함.
21. 동분서주(東奔西走)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말로, 여기저기 사방으로 분주하게 돌아다님을 뜻함.
22. 대동소이(大同小異)
대개는 같거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23.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말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도움.
24. 등하불명(燈下不明)
등잔 밑이 어둡다.
25. 다다익선(多多益善)
많을수록 더 많은 능력과 힘을 발휘하거나 유리할 수 있음.
26. 대동단결(大同團結)
많은 사람이나 여러 집단이 하나의 공동 목표를 위하여 크게 하나로 뭉침.
27. 동상이몽(同床異夢)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생각을 함.
28. 무병장수(無病長壽)
병이 없이 오래 삶. (건강과 장수를 축원하는 말)
29. 만수무강(萬壽無疆)
아무 병 없이 오래오래 삶. (건강과 장수를 축원하는 말)
30. 맹모삼천(孟母三遷)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잘 가르치기 위해 세 번 이사한 일.
31. 막상막하(莫上莫下)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뜻함.
32. 무지몽매(無知蒙昧)
세상 물정도 잘 모르고 세상 이치에도 어두움.
33. 망연자실(茫然自失)
실망이 가득하여 정신을 잃고 어리둥절함.
34. 막역지우(莫逆之友)
거스름이 없는 벗이라는 말로, 허물이 없이 매우 가까운 친구를 뜻함.
35.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뜻대로 잘 풀림.
36. 문경지교(刎頸之交)
죽고 살기를 함께 할만큼 너무나 친한 사이.
37. 불로장생(不老長生)
늙지 않고 오래 삶을 뜻함.
38. 백절불굴(百折不屈)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을 뜻함.
39. 부화뇌동(附和雷同)
아무런 주관이 없이 남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좇아 함께 어울림.
40. 배은망덕(背恩忘德)
남에게 입은 은혜를 잊어버리고 오히려 은혜를 베푼 사람을 배반함.
41. 박장대소(拍掌大笑)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42. 설상가상(雪上加霜)
눈이 내리는 위에 서리까지 더한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나 불행이 겹쳐서 일어남을 뜻함.
43. 삼동설한(三冬雪寒)
눈이 내리고 추운 겨울의 석 달 동안을 이르는 말.
44. 소탐대실(小貪大失)
욕심이 너무 지나쳐 눈앞의 작은 이익마져도 탐하다가 오히려 큰 이익이나 진짜 소중한 것을 잃어버림.
45. 새옹지마(塞翁之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는 뜻.
46. 심기일전(心機一轉)
어떤 계기에 의해 그 전까지의 마음을 완전히 뒤집듯이 바꿈을 뜻함.
47. 신출귀몰(神出鬼沒)
귀신같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말로, 자유자재로 문득 나타났다가 문득 없어짐을 뜻함.
48.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잘 생각함.
49. 심상사성(心想事成)
생각하고 마음먹은 대로 일이 이루어짐.
50. 삼사일언(三思一言)
세 번 생각하고 한 번 말한다는 말로, 말을 할 때는 신중히 생각한 후에 해야 함.
51. 세월유수(歲月如流)
세월이 물처럼 빨리 흐른다는 뜻.
52.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
53. 사필시종(事必始終)
어떤 일이든지 반드시 시작과 끝이 있음을 뜻함.
54. 솔선수범(率先垂範)
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하여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됨.
55. 십년지기(十年知己)
오래 전부터 친하게 지내어 자기를 잘 아는 친구.
56.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서로 도움을 뜻함.
57. 십시일반(十匙一飯)
여럿이 힘을 합하면 한 사람쯤은 도와주기 쉽다는 뜻.
58. 유지경성(有志竟成)
의지를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음.
59. 이열치열(以熱治熱)
더위는 더위로써 다스림을 뜻함.
60. 이한치한(以寒治寒)
추위는 추위로써 다스림을 뜻함.
61. 인면수심(人面獸心)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음.
62. 엄동설한(嚴冬雪寒)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63. 온고지신(溫故知新)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지식과 도리를 발견함을 뜻함.
64. 일취월장(日就月將)
날로 달로 발전하거나 성장함을 뜻함.
65. 애지중지(愛之重之)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김.
66. 오매불망(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함을 뜻함.
67. 일일삼추(一日三秋)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싶은 마음에 하루가 삼년같이 느껴짐을 뜻함.
68.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말로, 어떤 일이 다른 일과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마치 관계가 있는 것처럼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처지가 됨을 뜻함.
69. 오합지졸(烏合之卒)
까마귀 떼와 같이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이나 군중을 뜻함.
70. 임시방편(臨時方便)
갑자기 생긴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춰 처리함.
71.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 자로 본인의 사정이 급해 남을 돌봐 줄 겨를이 없음.
72.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뒷걱정이 없음을 뜻함.
73. 일취월장(日就月將)
날로 달로 발전하거나 성장함을 뜻함.
74. 엄이도령(掩耳盜鈴)
얕은 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지만 아무런 성과가 없음.
75.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왕래하며 사귐.
76. 야반도주(夜半逃走)
남의 눈을 피하여 밤사이에 도망함.
77. 인생무상(人生無常)
사람의 일생이 덧없이 흘러감.
78. 입신출세(立身出世)
성공하여 세상에 널리 이름을 떨침.
79. 입신양명(立身揚名)
출세하여 세상에 널리 이름을 떨침.
80. 인과응보(因果應報)
선을 행하면 선의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름.
81. 어불성설(語不成說)
하는 말이 도대체 앞뒤가 맞지 않아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음.
82. 언행일치(言行一致)
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같음을 뜻함.
83. 일편단심(一片丹心)
변치 않는 참된 마음.
84. 운수대통(運數大通)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천운과 기수가 크게 트여 이루어짐을 뜻함.
85.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말로, 바쁘고 어려운 중에서도 꿋꿋이 공부함.
86. 전화위복(轉禍爲福)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말로, 좋지 않은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김.
87. 자업자득(自業自得)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음을 뜻함.
88. 전전긍긍(戰戰兢兢)
매우 두려워하여 벌벌 떨며 조심함.
89. 자화자찬(自畵自讚)
자기가 한 일에 대해서 자기 스스로 칭찬함.
90. 지부작족(知斧斫足)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말로, 잘될 거라고 믿고 있던 일이 틀어지거나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 당함.
91. 적반하장(賊反荷杖)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말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이 없는 사람을 도리어 나무람.
92. 죽마고우(竹馬故友)
어릴적부터 함께 죽마를 타고 놀던 매우 친한 친구.
93. 정중지와(井中之蛙)
우물안 개구리'라는 말로, 식견이 좁아 세상물정을 모르는 사람.
94. 중상모략(中傷謀略)
근거 없는 말로 남을 헐뜯어 명예나 지위를 손상시키거나 속임수로 남을 해롭게 함을 뜻함.
95. 자아비판(自我批判)
내 자신의 생각이나 행위에 대해 스스로 비판함.
96. 표리부동(表裏不同)
마음이 음흉하여 겉과 속이 다름을 뜻함.
97. 파안대소(破顔大笑)
매우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크게 웃음을 뜻함.
98. 춘하추동(春夏秋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
99. 청출어람(靑出於藍)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
100. 천재일우(千載一遇)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
101. 천생연분(天生緣分)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이라는 뜻.
102. 천생배필(天生配匹)
하늘에서 미리 정하여 준 배필이라는 뜻.
103. 침소봉대(針小棒大)
작은 바늘을 큰 몽둥이라고 한다는 말로, 작은 일을 크게 부풀려서 말함.
104. 천재일우(千載一遇)
천 년 동안 겨우 한 번 만난다는 말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
105. 칠전팔기(七顚八起)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말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고 분투함.
106.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없게 되어 주인이 삶아 먹는다는 말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없을 때에는 버림.
107. 학수고대(鶴首苦待)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늘여 빼고 기다린다는 말로, 애타게 기다림을 뜻함.
108. 호사다마(好事多魔)
좋은 일에는 흔히 시샘하듯이 안 좋은 일들이 많이 생김.
109. 화이부동(和而不同)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한데 어울리지 않음.
110. 횡설수설(橫說竪說)
조리없이 이것저것 되는대로 지껄임.
111. 허장성세(虛張聲勢)
실력이나 실속도 없으면서 불필요한 허세를 부림.
112.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헤어지게 됨.
113. 회개지심(悔改之心)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114. 호가호위(狐假虎威)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끝.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무상 사자성어 (0) | 2022.10.23 |
---|---|
각자도생 뜻 및 한자 (0) | 2022.10.05 |
성공관련 사자성어 (0) | 2022.09.02 |
뜻 좋은 사자성어 (0) | 2022.08.25 |
어리석은 사람 사자성어 (0) | 2022.08.11 |
댓글